今日の為替レートrate

お振込銀行

クレジットカード支払い

ログイン | LOGIN

  • ems
  • jetro
  • ems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한국 근현대사(SET)전2권

通常価格 30,240ウォン
販売価格 30,240ウォン
韓国内配送料 3,000ウォン
オプション
 
 
商品購入についてのご案内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はワンモアが販売する商品ではありません。

・この商品の詳細情報、原産地、などは下記の【元の商品ページで開く】をクリックすると通販サイトで確認できます。

・この商品は韓国通販サイト【Auction.co.kr】の情報提携によって掲載しています。

・掲載されている商品のすべてが購入代行可能な商品ではなく、国際発送ができない商品や輸入ができない商品もあります。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のイメージや詳細内容につきましては一切責任を負いません。

・購入希望の場合は販売サイト情報をご確認の上、「購入代行サービスお申し込み」よりご依頼ください。



■ 책소개

★ 복잡한 한국사, 한국 근현대사를 이야기와 그림으로 한눈에 보다!
★ 50만 독자가 선택한 한국사의 결정판
★ 18년 연속 한국사 부문 베스트셀러
★ 역사는 주장이 아니라 사실이다!
★ 거짓된 역사관에 전력으로 저항한 결과물

역사는 주장이 아니라 사실이다!

1925년, 춘원 이광수가 <개벽> 지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한다. 한국인은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고”, 전국적으로 반일의 깃발을 들었던 3.1운동은 “무지몽매한 야만종의 망동”이며, 한국은 다른 무엇보다 이 ‘무지한 야만종’의 열악한 성품부터 개조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그로부터 백 년이 지나지 않아, 이와 크게 다를 바 없는 주장이 심심치 않게 터져 나온다. 뿐인가? 한중일 역사 전쟁의 영향으로 역사는 이제 학문이 아닌 정치가 되어버렸다. 그와 함께 중심을 잃은 편파적인 주장이 화제가 되는 일이 빈번해졌다. 우리 자신을 비하하는 다소 극단적이랄 수 있는 주장의 책이 저명한 학자의 이름을 빌어 베스트셀러에 오르는가 하면, 그에 못지않은 다른 방향의 극단적인 주장을 아무렇지 않게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사람들은 부끄러운 과거사를 외면하며 우리 선조는 위대했고, 우리 역사는 자랑스러운 역사라고 이야기한다. 반면 많고 많은 사료 중에 일부만을 긁어모아 우리 역사는 부끄럽고, 우리 민족은 열등하다고 자학하는 책도 존재한다. 그런 책을 쓴 사람들이 한때 “자학의 역사관”은 그만두라고 주장했던 건 지금 생각하면 아이러니다.
역사는 주장이 아니라 사실이다. 그러나 편협한 시각으로 많은 사료 중 일부만을 취해 자신의 주장만을 떠들어대는 거짓이 난무하고 있다. 이러한 거짓을 이겨내는 방법은 사실상 하나밖에 없다. 역사를 제대로 알고, 반박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다.
이 책들은 본격적인 연구서나 독자적으로 역사를 해석하는 책은 아니다. 다만 사실은 사실대로, 의견은 의견대로 구분해 담담히, 그 가운데 독자에 더 다가갈 수 있도록 정리해 적어놓은 책일 뿐이다. 역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 부담 없이 보고 다음 단계의 역사책을 찾을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의 책. 암기 위주의 역사 공부에 질린 사람이라도 이 책이 보여주는 전체 그림으로 우리 역사에 대한 감을 잡을 수 있게 하는 책. 그것이 바로 이 시리즈의 목적이다.

■ 목차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추천의 글 재미있으면서도 의미 있는 역사책 4
책머리에 한국사 서문 개정증보판 머리말을 대신해 7
들어가며 역사를 의심하면 역사가 보인다 9

1장 선사문화와 고대 국가 건설 _ 고조선의 성립과 삼국시대의 전개
훈족이 한반도 출신이라고? 19
그 많은 고인돌이 말해주는 것 22
단군신화, 어떻게 볼 것인가? 26
승리한 장군 모두 처형해버린 고조선-한 전쟁 30
삼국의 건국설화에 숨어 있는 세 가지 이야기 34
경제는 일류, 정치는 삼류였던 가야 40
광개토대왕은 어떻게 대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을까? 44
한반도 역사를 바꾼 평양 천도 47
고대사 최대의 수출국 백제 51
고구려 삼국통일의 기회를 망친 운명적 수도이전 54
법흥왕대의 친위쿠데타, 이차돈 순교 58
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을까? 63
동북아시아 두 강국의 결전, 고구려-수나라 전쟁 66
의자왕의 향락 때문에 백제가 망했다? 70
연개소문 일가의 빛과 그림자 73
신라가 최후의 승자로 남은 이유 77
신라에 왔던 아랍인들 81

2장 통일신라와 발해 _ 삼국통일을 거쳐 남북국시대로
대조영, 고구려 계승을 선언하다 85
발해를 한국사에 포함시킬 수 있는가? 88
발해의 목줄이 달린 해외무역 92
원효가 해골에서 본 것은? 95
호족 세력의 불교, 선종 98
장보고는 청해진에서 무엇을 꿈꾸었나? 102
골품제 사회 6두품 지식인의 좌절 106
효녀 지은설화에서 통일신라의 붕괴를 본다 110
궁예가 몰락한 진짜 이유 113
통일전쟁 승리 직전에 패배한 견훤 116
왕건의 쿠데타는 계획적이었다 119
고대사 최초의 사회복지제도 진대법과 을파소 123
연을 이용한 상징조작으로 내란을 진압한 김유신 124
매춘녀가 없었던 발해 125

3장 고려시대 _ 후삼국 통일에서 위화도 회군까지
왕건, 혈연네트워크로 후삼국을 다스리다 129
「훈요 10조」, 전라도 사람은 절대 기용하지 말라고? 133
본관제는 고려에서 시작됐다 137
천하의 중심은 고려다 140
‘광종의 개혁’ 절반의 고시, 과거제의 도입 143
전시과 도입, 정권의 성격이 경제제도도 결정한다 147
너무나도 판박이인 왕비들의 꿈 150
대 거란 전쟁 제1라운드, 외교전에서 완승을 거둔 서희 155
대 거란 전쟁 제2라운드, 군사력의 승리 158
최고 권력자 이자겸의 반란 161
‘묘청의 난’ 자주적 민족 운동인가, 불만 세력의 반란인가? 164
고려청자 아름다움의 비밀 167
금속활자, ‘세계 최초’란 딱지가 부끄러운 보물 170
한국이 코리아로 불리게 된 이유 173
사대주의냐, 냉엄한 춘추필법이냐?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177
무신정권, 군사쿠데타로 정권을 잡았지만 181
우리나라 최초의 천민해방운동, 만적의 난 185
대몽 항쟁기의 거대 프로젝트, 팔만대장경 188
반외세 항쟁이냐, 수구세력의 마지막 저항이냐? 192
어디서 감히 첩 제도 운운하나 197
친일파가 있었듯 부원파도 있었다 201
공민왕의 개혁, 신돈은 요승이었나? 205
열 개의 목화씨로 남은 사나이, 문익점 210
끝을 모르는 권문세족의 탐욕 214
거북선의 원형, 고려 군선 218
송나라 대시인 소동파가 고려와의 무역을 반대했던 이유 219

4장 조선시대 _ 근세의 태평시대를 거쳐 민중반란까지
500년 조선왕조를 연 요동 정벌군의 회군 223
역성혁명의 기획자, 정도전 227
고려 말 권문세족의 토지문서를 불태우다 231
정말 신문고만 치면 됐나? 234
세종대왕, 그토록 조화로운 인간에게 불행의 그림자가 238
15세기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시계 242
한글을 만든 진짜 이유 세 가지 246
세조의 쿠데타 ‘왕권 강화냐, 명분 없는 권력욕이냐?’ 250
속치마 폭까지 규정한 조선 최고의 법전 경국대전 254
조선의 네로 황제 연산군의 최후, 중종반정 257
조광조, 어느 깐깐한 개혁주의자의 죽음 261
누가, 왜, 무엇 때문에 싸웠는가? 265
임진왜란은 무역 전쟁이었다! 269
불패의 게릴라 부대, 의병 272
이순신이 넬슨보다 위대한 이유 275
세계로 수출된 지식상품, 『동의보감』 279
광해군, 조선시대 최고의 외교정책가 283
인조반정, 성공한 쿠데타는 역사도 처벌 못한다? 287
병자호란, 그날 인조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289
소현세자 독살설의 진상 292
영조, 정쟁의 한복판에서 중흥 시대를 열다 296
정조가 수원에 열두 번 간 까닭은 301
조선에도 장사로 큰돈을 번 여자가 있었다 305
전봉준은 정말 정약용의 개혁론을 만났을까? 308
검찰이 구속한 신윤복의 춘화 312
세도정치, 2만 냥 주고 고을 수령을 산다? 317
용병을 고용한 평안도 농민전쟁 320
〈대동여지도〉, 김정호는 정말 옥사했는가? 325
세도가의 가랑이 사이를 기어나간 흥선대원군 330
조선시대 이혼 이야기 334
봉급 한 푼 없었던 조선시대의 향리 335

5장 근대의 전개와 현대사회의 성립_제국주의 침략에서 민주국가 수립까지
자주적 근대화의 발목을 잡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339
강화도조약, 새끼 제국주의 국가 일본에 일격을 당하다 343
임오군란 후 외국군이 주둔하다 347
노터치No-Touch가 노다지의 어원이라니! 351
김옥균의 삼일천하, 갑신정변 355
동학의 창시와 농민혁명의 전개 359
녹두장군 전봉준의 꿈 363
이완용이 독립협회의 초대위원장이었다 368
평민에게 넘어간 의병투쟁의 지도권 372
을사조약, 불법조약 체결을 강요하다니! 375
3·1운동, ‘동방의 등불’이 된 코리아 ! 378
‘대한민국임시정부’ 신채호, 이승만에게 일갈하다 383
홍범도, 봉오동·청산리전투를 승리로 이끌다 387
일제와의 야합 속에 진행된 예비 친일파의 자치운동 390
일제하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조직, 신간회 394
김일성은 가짜였다? 398
잔혹한 수탈과 억압을 자행한 일제 401
아직도 청산되지 않은 반역의 역사, 친일파 문제 404
8·15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 반쪽짜리 독립 411
찬탁은 재식민화의 길이었나? 414
식민잔재 청산, 그 통한의 좌절 418
비전쟁기간에 일어난 최대의 학살극, 4 ·3항쟁 422
남침이냐, 북침이냐? 425
한국 민중, 최초의 승리를 거두다 ·‘419혁명’ 428
박정희 개발독재의 빛과 그림자 428
광주민주화항쟁에서 촛불항쟁까지 431

참고문헌 435

<하룻밤에 읽는 한국 근현대사>

서문
1장 근대 사회의 전개
임상옥, 홍경래, 그리고 흥선대원군 13
승리의 대가가 너무 컸던 두 번의 작은 전쟁 19
최익현, 도끼를 짊어지고 대원군 축출에 앞장서다 25
후발 제국주의 국가에 당한 최악의 개항 28
어느 쪽도 성공할 수 없었던 노선 사이의 갈등 33
민씨 척족의 부정과 부패가 불러온 임오군란 39
개화파의 몰락을 가져왔던 3일 천하 45
민중 속으로 동학이 불같이 전파되다 53
위대한 패배, 동학농민전쟁 61
떠밀린 절반의 개혁 68
민비 시해사건의 진실 73
고종, 궁녀용 가마를 타고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 76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 79
아, 대한제국 86
일제 36년을 견디게 한 위대한 패배 91
우리 민족이 못나서 국권을 상실했는가? 98
허가서 한 장으로 횡재 잡은 외국의 수완가들 104
금연하고 반찬값 아껴 일제의 빚을 갚자 111
노비도 인간이다 118
장죽 대신 궐련, 숭늉 대신 커피 123
의병은 왜 철도와 기차를 파괴하려 했을까? 129
열독자가 수십만을 넘었던 『독립신문』 136
국가보다 민간 주도로 설립된 학교 143
이완용의 비서, 이인직이 최초의 신소설을 쓰다 149
일본의 한국인 무기 소지 금지로 호환虎患에 시달린 한국인들 155

2장 일제 식민통치와 민족 독립운동
이미 뺏긴 나라, 식민시대 공식 개막하다 159
즉결 처벌이 ‘매질’인 무단통치 시대 166
민족개조론을 탄생시킨 문화통치 172
전장에 나간 조선인은 누구에게 총구를 돌릴 것인가? 177
식민지 약탈을 위한 핵심 프로젝트, 토지조사사업 183
회사 한번 잘못 세우면 5년 동안 감옥살이 189
조선 농민이 일본의 호구인가 192
조선을 경제옥쇄작전으로 내몰다 197
비밀결사에 의해 주도된 국내의 독립운동 203
정답은 무장 독립군 208
3.1운동 아시아독립운동의 모델이 되다 214
대한민국 임시정부, 민주공화제를 선포하다 224
민족운동의 백가쟁명 시대 230
좌우합작투쟁의 시발점, 6.10만세운동 234
학생운동을 촉발시킨 일본인 학생의 성희롱 사건 239
최고의 현상금이 걸린 사나이, 김원봉 246
나르는 호랑이 홍범도 봉오동전투를 이끌다 254
자유시 참변을 딛고 서다 258
무장독립군, 중국군과 연대하다 264
1920년대에 홍범도가 있었다면 1930년대에는 양세봉이 있었다! 271
일본의 항복이 아쉬웠던 한국광복군 272
물산장려운동의 빛과 그림자 277
조선에도 대학을 세우자 283
신간회가 분열되지 않았다면 290
노동운동, 민족운동의 암흑기를 밝히다 298
생존권투쟁에서 반제 민족운동으로 304
발명된 말 ‘청년’과 ‘어린이’ 310
모던 걸, 모단 걸 315
죽어서도 상여를 타지 못하는 백정들의 해방운동 320
‘최선한 차선책’으로서의 문화운동 326
예술적 성취와 현실적 굴종 사이, 식민지 문화예술 334

3장 분단과 좌절, 성취의 남북한 역사
8.15, 광복의 그늘 345
38선과 민족 분단, 그리고 미소 군정 351
남북 분단의 갈림길, 친탁이냐 반탁이냐! 356
축복이 되지 못한 대한민국 정부 수립 363
대한민국의 미래를 예고한 두 개혁 370
말살과 유아독존을 위한 전쟁 377
한국은 죽고 일본은 살찐다 383
제2의 해방, 4.19혁명을 성취하다 384
박정희식 대한민국의 출범 390
권력 연장을 위한 또 한 번의 쿠데타, 10월 유신 396
무리한 경제개발이 낳은 그림자, 광주대단지 사건 403
유신과 유일체제 구축에 이용된 통일 논의 404
남북의 통일논의, 어떻게 변천되었나? 409
암살로 막을 내린 유신체제 411
‘겨울’의 역습과 패배한 민주주의 416
군부독재의 패퇴를 강제한 6월민주대항쟁 421
6공 수립, 민주주의 퇴행에서 촛불항쟁까지 427
33세의 김일성, 북한의 최고권력자가 되다 435
김일성 유일체제가 고착화되다 440
3대 세습체제는 어떻게 완성되었나? 445

■ 출판사서평

연도와 사건을 암기하는 한국사가 아닌
배경과 흐름을 이해하는 한국사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하룻밤에 읽는 한국 근현대사>는 이렇듯 역사가 정치가 되어버린 현상에 전력으로 저항한 결과물이다. 동시에 더욱 많은 이에게 읽힐 수 있도록, 역사의 흥미에 대한 관심도 함께 기울였다. 의견보다는 사료를, 일방의 주장 대신 다양한 시각을 소개하려 노력했다. 역사는 사람이 만들어가는 것이기에, 교과서식의 압축적, 개념적인 서술 대신 사람의 행위와 감정, 동기에 천착했다. 건조한 서술이 아닌 이야기식 서술을 도입해, 역사는 실제로 우리가 살아 숨 쉬는 세상의 이야기라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 본문 중간에 삽입된 칼럼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사실의 한 귀퉁이를 제시했다. 매 꼭지 말미에는 ‘역사 메모’ 성격의 자투리 사실을 부기했다. 이 역시 독자들이 자칫 지나치기 쉬웠던 여러 사실들을 통해 역사에 흥미를 느끼고, 새로운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비슷한 의도의 책도 많겠지만 이 책은 그 가운데서도 분에 넘치는 대접을 받았다. 증쇄를 100회 이상 하게 되었고, 전국의 각급 단위 학교, 대학의 추천도서로 지정되었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이들도 본격적인 시험 준비에 앞서 한국사의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 읽는다고도 한다. 무엇보다 50만이 넘는 독자가 이 책을 선택해주셨다. 그러한 독자의 의도와 서점의 요청, 그리고 그간 보내주셨던 많은 분들의 성원과 아쉬움을 반영해, 두 권의 책을 새로이 개정하여 출간하게 되었다. 역사학계의 성과를 반영하여 달라진 내용을 바로잡고, 한국사만 포함되어 있던 기존의 ‘한국사 연표’에 ‘한국사-세계사 비교연표’를 수록했다. 고조선의 전개와 멸망 과정이나, 조선시대 여성의 입지에 관한 글, 일본인들이 경계했던 조선의 포수들과 그로 인한 사건들, 탄핵사건과 촛불집회 이후, 김정일 이후 집권한 김정은 시대 등 몇몇 흥미로울 부분과 함께 현대사 부분도 최근 사료까지 끌어올렸다. 기존의 사진을 교체하며 새로이 여러 장의 사진 및 시청각 자료를 추가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가독성에 유리하도록 기존의 디자인을 세련되게 수정하였다. 독자와 역사 사이를 잇는 가교라는 이 책의 역할에 더욱 충실해지기 위해서다.
역사를 두고 편파적인 주장이 난무하는 요즘 현실에, 독자가 자기만의 주관으로 역사를 볼 수 있게 되기를, 최소한 이 책들 역사라는 흥미로운 길로 들어서는 가교 역할이라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각권 소개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방대한 한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한 역사서. 선사 시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 한국사의 흐름을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 간결하게 정리하였다. 각각의 주제들을 통해 전체적인 시대상을 아우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해를 돕는 그림과 사진을 곁들여, 연도와 사건을 암기하는 대신 역사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역사 이해에 도움이 될 핵심 키워드를 간결하게 정리했다.

<하룻밤에 읽는 한국 근현대사>
개화기부터 지금까지를 집중하여 다룬다. 의견보다는 사실(fact)에, 일방의 주장 대신 다양한 시각을 소개하는 가운데, 무엇보다 역사의 행위자인 사람의 이야기에 관심을 기울인다. 역사란 결국 사람의 의지와 행동이 이끌어간다는 진실 외에 이야기가 역사의 전개 과정을 보여주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라는 점에 주목한 결과다. 흥미진진한 독서 속에서 독자들은 근현대사의 전개과정은 물론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 핵심사건, 논란거리 등에 대해 쉽고 빠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한국사 공부가 필요한 수험생, 식민지와 독재시대를 경험하지 못한 청년층, 지나온 세월을 반추하며 미래를 위한 새로운 동력을 얻고자 하는 중·장년층 모두에게 유익한 근현대사 탐험의 시간을 제공한다.

■ 저자소개

저자 : 최용범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나 성균관 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월간 『사회평론 길』에서 취재 기자로 일하다, 2000년 『월간중앙』에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를 연재하면서 역사 작가의 길에 들어섰다. 50만 독자가 선택한 한국사의 결정판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사』(공저)를 비롯, 『역사 인물 인터뷰』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만약에 한국사』 『난세에 간신 춤춘다』 등 역사와 사회 전반에 관한 다수의 책을 집필했다.

저자 : 이우형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문학이 좋아 대학 전공도 관련 학과를 선택했지만 생각지도 않았던 ‘시대의 덫’에 걸려버렸다. 해방공간의 청년 시인 유진오의 “먼저 철저한 민주주의자가 돼야 한다”는 말을 신조로 삼았고, 이후 많은 젊은이들처럼 열정의 시절을 경험했다. ‘화려했던 시대(?)’가 저문 뒤에는 출판계에 빌붙어 밥벌이를 하다가, 아예 작가의 길로 나서기로 작정하고 몇 권의 책을 펴냈다.
『나는 매일 농장으로 출근한다』 『마흔 살의 승부수』 『변화의 물결, 한국인 트렌드』 등의 책을 직접 쓰거나 공저자로 참여했다. 지금은 굴욕적인 ‘조일수호조약’의 현장 강화도에 칩거하며 여전히 글쓰기에 매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