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사 ◆
대동아
◆ 책소개 ◆
고대 한국은 아시아의 문명의 모체였다.
이홍범 박사는 1943년 경상남도 남해에서 태어나서 동경대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1973년 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 국제정치와 역사를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에는 하버드대학에서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연구했다.
이 박사가 5년 동안 혼신의 힘을 다해 집필한 〈아시아 이상주의 ASIA MILLENARIANISM〉책은, 한국· 중국·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문화 발전과 고대 동아시아 역사, 문화의 발원지가 한민족이라는 사실을 다루고 있다. 약 1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시아의 장대한 역사를 집대성, 고대 아시아 연구에 한 획을 그은 역사 문명 서적이다. 또 동북아시아에서 근대화시기에 마주쳤던 이상주의적 열망을 한국의 동학과 중국의 태평천국을 비교해서 연구해 놓았으며, 두 운동은 모두 고대 한국의 이상주의에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밝혔다. 특히 동학농민운동은 고대 한국의 이상주의에 영향을 받은?한국 역사상 최대의 이상주의적 봉기였다.
?이 책은 2007년 미국 뉴욕의 캠브리아 출판사(CAMBRIA PRESS)에서 출간되었으며, 하버드대학에서 3년 연속 연구도서(참고도서)로 선정되었고, 미국의 주요 명문대 예일, 프린스턴대 등의 연구도서로 선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오바마 행정부에서는 키친캐비넷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역사에 대한 워싱턴 정가 핵심부의 인식을 크게 높여놓은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 책에서 “한국인은 미개해서 고대에는 중국의 속국으로 근대에는 일본의 식민지가 됐다는 일반적인 역사인식을 깨트리며, 고대에 중국과 일본을 만든 민족은 바로 한국인이며, 고대 한국 문명이 아시아 문명의 모체였다”고 국내외의 역사적 자료를 들어 설파한다. 동아시아 문명의 원류인 한민족 1만년 역사와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 사대주의, 식민주의 사관으로 왜곡돼 왔던 대한민국의 상고사를 제대로 고구해 낸 점은 무엇보다 커다란 학문적 성과이다.
일례로 태평(太平)이란 말은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쓰여 온 이상주의적 용어이다. 여기서 ‘태(太)’는 ‘크다’는 뜻과 ‘콩’이라는 뜻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태평을 ‘크게 평화롭다’, 혹은 ‘콩을 서로 나누어 먹어 평화롭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콩을 나누어 먹으면 먹을수록 더욱더 커져가는 것도 태평이 갖고 있는 커다란 의미이다. 콩은 만주와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지역에서 우리 민족이 오래 전부터 재배해왔던 작물이다. 두만강이란 단어에도 콩이란 단어가 들어가 있을 정도이다.
미국 하버드대학교를 중심으로 많은 대학에서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학문 분야가 바로 이상주의이다. 이상주의란 유사 이래 지구촌의 정치, 역사, 문화, 의학, 과학 등 모든 분야에 걸친 학문적 성과를 이용하여?전쟁과 질병이 없고, 모두가 동등하고 빈부 차별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 진정한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지구촌을 열어가기 위해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가리킨다.?
‘태평’과 ‘홍익인간’ 그리고 동학의‘인내천’사상 등 한민족의 인간과 자연 등 만유를 포괄하는 이상주의 이념이 지구촌을 더 평화롭고 자유롭고 번영하는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 목차 ◆
| 저자 소개 XIX
이홍범 박사 약력 XIX
『아시아 이상주의』 저술 배경에 대한 이홍범 박사의 증언 XX
| 추천의 글 XXV
| 시작하며 XXIX
| 감사의 글 XLI
서장 3
이전의 역사기록학(Historiography)과 식민지 유산 19
· 식민지 유산, 아시아 연구의 현재 수준 및 문화적 차이점들 30
중국어의 은유 33
· 괴물들의 머리와 이마 33
·불사(不死) 34
·동이(東夷) 명칭, 구이(Nine i, 九夷) 및 조선 한국 35
·식민지의 유산과 『역경(I-jing, 易經)』 36
·고대 동아시아 이상주의 전통의 기원 37
·중국과 일본의 고대 건국자들은 한국인들이었다 38
역사서를 불태운 중국 황제 43
고대 한국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견해 43
천문도, 태음력(음력) 및 아시아 이상주의의 꿈 45
한글, 한자, 이상주의 그리고 역사 45
이상주의 왕국과 옛 한국 문자 또는 한자 48
누르하치(愛新覺羅), 청나라, 태평천국 52
고대 한국의 이상주의 교리와 아시아 이상주의의 뿌리 53
식민지 유산과 물질적 기록물들에 대한 의존으로부터 해방 56
아시아 이상주의의 구전 전통과 이상주의 연구 57
한국과 일본의 관계들 59
포괄적 또는 양자적 접근 59
제1장 이상주의론 : 새천년왕국설 의미의 진화 81
비(非)기독교 이상주의의 폭넓은 적용과 정치 이념 90
이상주의 정의에 대한 불일치 96
다른 사상과 전체주의의 관계 98
이상주의에 대한 자연과학적, 기술적, 의학적 접근 100
이상주의에 관한 일반화 100
이상주의 운동에 관한 다른 이론들 102
아시아 이상주의 운동들 104
·불교와 관련된 이상주의 운동 104
·중국의 이상주의 운동 104
·베트남의 이상주의 운동 105
제2장 이상주의의 기원 : 1억 년 동안의 태평 113
고대 한국의 이상주의 나라-첫번 째 조선(한국) 116
한국과 유대-기독교와의 관계 123
두 번째 이상주의 왕국-두 번째 조선 125
세 번째 이상주의 왕국-세 번째 조선 126
한국 역사와 학문의 신화 129
이상주의 왕국의 철학(천부경) 131
동아시아의 하늘, 땅, 그리고 천도(天道) 145
음양오행과 역경으로 본 고대 이상주의 사상 146
천부경의 역경 이론, 예수그리스도, 기독교의 이상주의 149
역경(易經)과 의학 153
인체 155
마음과 건강 157
지구와 우주의 순환 159
세계 종말에 관한 새로운 지구물리학의 관점-축(軸) 162
·지구의 회전론 162
·세계 종말에 대한 우주학자들의 견해 166
고대 한국의 이상주의 이념과 유교 168
고대 한국의 이상주의 이념과 불교 170
고대 한국 이상주의 교리, 도교, 태평천국, 그리고 동학 171
제3장 전통 중국과 전통 한국 : 개벽 현상이 나타나는 시기
1. 전통 중국 사회의 개벽기 181
전통적인 중국 182
·중국 전통 사회의 구조 183
·청나라 정부의 대남방(對南方) 정책 191
서구 열강의 중국 침략과 청나라의 위기 195
2. 전통 한국 사회의 개벽기 202
전통적인 한국-전통적 한국 사회의 구조 202
·조선왕조 체제 204
·일본과 청의 침략, 조선 왕조의 약체화 205
·서구 열강의 침략과 조선의 위기 207
결론 20
제4장 태평천국과 동학 지도자들의 이상주의 운동의 동기
1. 중국 태평천국 운동의 동기 219
홍수전의 배경과 배상제회(拜上帝會)에 대한 동기 220
2. 한국 동학 운동의 동기 234
수운 최제우의 배경과 계시를 향한 동기 234
결론 242
제5장 태평천국과 동학의 역사 철학
1. 중국 태평천국의 역사 철학 251
태평천국-홍수전의 신관(神觀) 252
홍수전과 기독교 255
홍수전의 개벽관(開闢觀)과 천도(天道) 256
다른 종교에 대한 홍수전의 견해 258
대청(對淸) 투쟁의 사상적 정당화 260
부정의(不正義)에 대한 홍수전의 견해 262
대동사회(大同社會) 263
홍수전의 민족주의 268
홍수전 배상제교회에 의한 이상주의적 천국 272
2. 한국 동학의 역사 철학 278
동학-동학의 이상주의 철학과 그 정치적, 사회적 함의 27
민족주의 281
·나라를 보전하라(輔國) 282
·백성들을 평안하게 하라(安民) 285
자연의 법칙, 음양, 기(氣)와 하느님에 대한 동학의 견해 285
다른 종말론 296
·미셸 노스트라다무스 296
·불교 297
·기독교 298
·이슬람교 301
세상의 종말과 자연과학 306
동학과 환경 309
동학의 이상주의 꿈 310
동학의 우주 순환 주기-50,000년 312
동학의 이상주의 교리 315
동학과 기독교 319
동학과 유교 321
동학, 불교, 도교 322
타락과 죄의 본질 323
결론 325
제6장 역동적인 국력으로서 태평천국과 동학
1. 중국 태평천국의 역동성 343
태평천국-홍수전의 개혁을 향한 첫 단계 344
배상제교, 배상제회 346
객가들의 풍운산의 배상제회 합류 349
지방 사당의 공격과 풍운산의 체포 351
성령과 새로운 지도자들-양수청과 소조귀 354
중국 지방 민병대가 배상제교 교도들을 공격하다 363
금전 봉기의 준비(태평천국운동) 364
금전 봉기와 세속적 욕망들 369
천지회(天地會)가 태평천국에 가입하다 371
다른 집단들이 태평천국에 가입하다 373
세속적 욕망을 위한 태평천국의 칙령 377
태평천국과 민중 참여 382
천국과 성경에 반하는 홍수전의 입장 383
홍수전의 지상천국 384
우한과 남경의 점령과 태평천국의 부패를 향한 몰락 385
양수청의 야망과 홍수전의 양수청을 살해하려는 음모 386
홍수전은 위창휘를 부르고 위창휘는 양수청을 살해한다 393
홍수전에 대한 위창휘의 알력 399
태평천국 왕들의 사망과 태평천국의 붕괴 401
2. 한국 동학의 역동성 408
동학-수운 최제우의 세속 안으로 진입과 선교 사업 408
동학 세력의 증가와 새로운 지도력의 형성 및 교리 본문 410
반란의 서막 414
해월 최시형은 이필의 난을 피해서 숨었다 417
동학의 정부에 대한 탄원들 418
동학의 재구성과 정부에 재탄원하기 420
해월 허락 없는 전봉준의 반정부 봉기 433
북접의 등장 439
서양에 대항한 소말리아 이슬람-무함마드 압둘라 하산 443
결론 445
제7장 동학으로서 증산도와 통일교회
1. 동학으로서의 증산도 457
참동학 458
종교들의 통합 459
고통의 원인과 이상주의적 낙원으로의 거대한 격변 460
마테오 리치, 근대 문명 그리고 수운 최제우 460
동학사상과 증산의 관계 462
이상주의 낙원의 원리-우주 순환과 종말 467
기(氣力) 4
하늘, 땅 그리고 이상주의 낙원 470
정부 471
구원을 위한 방법들 471
·정직 472
·정의와 배신 472
신이(神異) 473
증산도와 천(天)·지(地)·인(人) 475
예언 476
·세상일을 위한 새 판 짜기 476
·한국을 중심으로 한 중미 전쟁 477
·일본의 고베 지진 477
·러일 전쟁(1904~1905) 478
·세계 2차 대전에서 일본 패배 478
·일본의 한국 통치 479
·상씨름이 정해진 순서로 끝나다 479
·거대한 재난, 극 이동, 마지막 날들 480
·후천과 새로운 이상주의 낙원 481
2. 통일교와 이상주의 484
정통 기독교에 대한 통일교의 견해 485
인간 타락과 죄 근원의 의미 485
육체와 영혼 487
신의 창조 목적 48
신의 구원 섭리의 목표 490
악마를 이기는 승리와 참사랑의 복원 492
천국을 이루는 데 실패한 예수 494
성경(成經 완성된 성경)시대와 이상주의 꿈 494
선민의식 495
문은 자신이 구세주라고 공표하고 있다 496
문선명 부인(한학자 총재)의 연설 498
제8장 결론: 이상주의 총괄
이상주의와 아시아의 경우-동아시아의 이상주의 운동들 505
이상주의 운동의 원인이 된 요소들 509
동학과 태평천국운동 509
아시아 전통 속에서 이상주의의 패러다임 512
이상주의 주요 이론들 검토 514
콘(Cohn)의 이상주의 정의 514
결핍 이론의 검토 517
욕망들과 이상주의 521
이상주의들 522
자아(自我) 이상주의와 무아(無我self) 이상주의 523
이상주의와 환생 534
인간이 돼지로 환생했다 535
비아시아인들과 환생 538
환생,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540
기독교 541
이슬람교 541
중세와 르네상스 541
환생과 서양 학자들 544
무아(無我) 이상주의 운동 546
자아 이상주의-일신교적 및 비일신교적 이상주의 548
일신교적, 몸 안의 영성, 자아-이상주의 549
일신교적, 물질적, 몸 안의 비(非)영성, 무아-이상주의 550
일신교적-다신교적 몸 안의 영성, 자아-이상주의 550
일신교적-다신교적 몸 안의 비영성, 자아 이상주의 551
무신론적 물질주의적 이상주의 551
과학적인 이상주의 551
직선적인 이상주의와 순환적인 이상주의 552
이상주의의 정의 552
물질적-몸과 함께하는 영성, 자아-이상주의 552
비물질적, 비육체적 자아 또는 무아 이상주의 553
참고문헌 558
색인 578
◆ 출판사 서평 ◆
이홍범 박사의 〈아시아 이상주의〉 책은 2007년 두 번째 밀레니엄을 맞이하여 출판되었으며, 우리나라의 고유한 이상주의 사상과 역사를 담고 있는 획기적인 성과물이다. 한국의 역사를 문자 기록만이 아니라 고대의 유적이나 구술의 기록 등을 폭넓게 참고하여 우리 역사의 연대를 1만 년 가까이 높이고, 고대 한민족의 사상이 유·불·도교를 비롯한 동아시아 사상의 원류가 되었음을 고증하여 근대의 식민지적 유적을 극복해 내고자 한 노력의 결과물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는 이홍범 박사의 스승인 펜실베니아 대학교 콘로이 교수뿐만 아니라 국내외 여러 학자들과 지식인들의 도움과 격려가 컸다. 이홍범 박사는 국내에 귀국하여 우리 역사를 알리고 드높이는 일을 하시다가 2017년 미국 출장길에 불의에 서거하였다. 〈아시아 이상주의〉 책은 국내보다 해외에서 먼저 소개되어 하버드나 예일 같은 유수의 대학의 해외 학자들이 먼저 주목하고 연구하였다.
〈아시아 이상주의〉 책은 우리의 역사와 이상주의에 대하여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시하며, 한류가 세계로 퍼져나가는데 K-Culture 뿐만 아니라 K-Civilization 으로 시스템화하고 영속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저자소개 ◆
이홍범
저자 : 이홍범
경남 남해 출생(1943년)
일본 동경대학부 법학부 졸업
펜실베니아 대학교 역사학 박사
하바드/ 옥스퍼드 대학교 동아시아 국제관계 전공
미국 평화상 수상(2011년)
전)헌팅턴 커리어대 학장
전)오바마 대통령 명예장관(kichen cabinet)
전)세계환단학회 회장
전)세계정경학술협회 총재
2017년 3월 25일 미국 LA에서 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