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소개
부정맥 치료약 교재. 어려운 이론보다는 실제로 접하기 쉬운 임상적인 상황을 중심으로 서술했다.
목차
PART 1. 총론
1. 처음부터 「총정리」
2. 플러스 알파(+α)의 지식이란?
PART 2. 기초
3. 심근의 활동전위를 복습한다
4. Ion channel 맛보기
5. 여러가지 K+ channel
6. 동결절(sinus node)은 스스로 움직인다
7. 방실결절(AV node)은 엄격한 통제소
8. 방실결절(AV node)을 억제하는 약
9. Triggered activity, EAD, DAD
10. Re-entry: 흥분이 빙빙 돈다는 것
PART 3. 항부정맥약의 아웃라인
11. 항부정맥약이란 결국 무엇인가?
12. 항부정맥약의 분류: Vaughan-Williams 분류는 아직 살아있다
13. 수많은 I군 약제: 어디가 같고, 어디가 다른가?
14. Channel에 결합하는 타이밍: active state blocker와 inactive state blocker
15. 끈기없는 무리와 끈질긴 무리, 점성이 다르다: Na+ channel과의 결합·해리
16. 여기서 시작하였다 - I군약의 고전파: Ia군약
17. I군약의 마일드 타입: Ib군
18. 사실은 쓰기 쉽다: Ic군약
19. 조역인데도 자주 나온다: II군약(β 차단제)
20. 뭐라해도 최후엔 이것: III군약
21. 형제도 아닌데: IV군
22.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리 없다: 부작용
23. torsades de pointes가 일어나면
24. 치료약을 선택하는 법
PART 4. 심방기외수축(APC)
25. 이상전도(aberrant conduction)는 왜 중요할까?
26. 치료할지 말지, 누가 결정할 것인가?
27. 쓰고 싶은 항부정맥약과 써도 되는 항부정맥약
28. Case 1: 호소가 심한 중년여성
29. Case 2: 약간의 승모판폐쇄부전이 있다
30. Case 3: Blocked PAC
31. 다양한 모양의 P파: 다원성심방기외수축(多原性心房期外收縮)
32. Case 4: 현성 WPW증후군에서 short run이 반복된다
PART 5. 심실기외수축(PVC)
33. PVC가 “치료대상이 아니다”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34. PVC가 빈발하면 심부전을 발생하는가?
35. 어린이의 PVC는 왜 무서운가?
36. CAST study는 폭탄
37. Lown의 분류를 쓰는가?
38. 어느 항부정맥제를 쓸까?
39. Case: 유출로 기원의 PVC
40. 연발이 많은 PVC (non-sustained VT)
41. 급성심근경색의 lidocaine
PART 6. 발작성상심실성빈맥(PSVT)
42. 빈맥의 여러 이름들
43. PSVT는 2종류로 나눈다
44. AVNRT의 빠른 전도로와 느린 전도로
45. AVNRT는 어떻게 회전하는가?
46. long RP′ tachycardia를 알면 뭐가 좋은가?
47. WPW 증후군과 AVRT
48. WPW 증후군에 따라붙는 빈맥
49. WPW 증후군-가성심실빈맥인데도 catheter ablation을 거부한다면
50. 즉시 멈추고 싶을 때
51. ATP제제로 멈춘다
52. WPW 증후군의 PSVT를 procainamide로 멈춘다
53. WPW 증후군의 PSVT를 disopyramide나 Ic군약으로 정지시킨다
54. 현성 WPW 증후군의 만성기
55. 현성 WPW 증후군이 아니면 원패턴(one pattern)으로 넘긴다
PART 7. 심방조동
56. 통상형과 비통상형
57. 항부정맥제로 심방조동을 치료할 수 있을까?
58. 밑져야 본전으로 항부정맥제에 의한 동조율화를 노리고 싶을 때
PART 8. 심방세동
59. 잊고 있었던 폐정맥
60. AF는 AF를 낳는다(AF begets AF)
61. 기저질환이 있는 발작성 심방세동(PAF)
62. 급성심근경색과 심방세동
63. AFFIRM study: rhythm control vs. rate control
64. 심부전의 심방세동
65. 왜 항응고요법인가?
66. CHADS2 score는 쓰기 쉽다
67. 어느 약제를 사용할까?- 구체적으로
68. 주사제 항부정맥약에 의한 AF 정지는 의미가 있는가?
69. rate control은 충분한가?
70. 레닌-안지오텐신계(系) 억제제의 역할
71. CASE 1: 지속이 짧은 PAF
72. CASE 2: 첫 발작
73. CASE 3: 반나절 가까이 지속되는 두근거림
74. CASE 4: 1일 정도 지속되고 있는 AF를 주사 항부정맥제로 멈추고 싶을 때
75. 현성 WPW 증후군(가성심실빈맥)의 심방세동
76. CASE 5: 경구 pilsicainide에 의한 정지
77. CASE 6: 판막증이 있다
78. CASE 7: 야간에 호발한다
79. Case 8: 심방조동도 같이 보일 때
80. Case 9: 쓰러지는 심방세동
81. Case 10: 비대형심근증에 혈전색전증을 일으켰다
82. Case 11: rate control이 어렵다
PART 9. wide QRS 빈맥(tachycardia)
83. 겉보기로는 4종류
84. 먼저 특발성 VT를 생각한다
85. verapamil-sensitive VT를 만났을 때
86. 유출로기원 VT (좌각차단 - 우축편위형 VT)
87. 별로 근거는 없지만, 어쩐지 VT인 듯 할 때
88. 「어쩌면 상심실성빈맥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을 때
89. 급성심근경색증이나 확장형심근증: nifekalant를 쓴다
90. 정맥주사 amiodarone을 쓴다
91. 기질적심질환을 배경으로 한 VT
92. 경구 amiodarone을 진구성심근경색이나 부정맥원성우심실심근증의 VT/VF에
사용한다
93. 확장형심근증의 VT
PART 10. 심실세동
94. 총론
95. electrical storm이란?
96. electrical storm의 대책
97. 특발성 VF
98. 심부전의 부정맥과 레닌-안지오텐신계 억제제
PART 11. 동부전증후군
99. 서맥과 빈맥의 기로에 선 약
100. 약물치료
101. 경구약으로 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