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상처받지 않을 권리》 전면 개정판!
“자본주의에 맞설 지혜와 용기를 주는 책”
돈이 삶의 목적이 되어버린 우리의 삶
왜 우리는 늘 상처받고 고통받으며 살아갈까?
상상해보라, 자본주의 너머의 세계를
5명의 탁월한 인문지성이 안내하는 자본주의에서 상처받지 않고 살아남는 법
2009년 출간하자마자 인문 교양서로는 드물게 화제의 베스트셀러에 올랐던 《상처받지 않을 권리》 전면 개정판이 《상처받지 않을 권리 다시 쓰기》라는 제목으로 출간됐다. “자본주의가 우리에게 삶의 자유를 빼앗고 그 대가로 소비의 자유라는 치명적인 상처만을 안겨주었다”는 내용을 담은 《상처받지 않을 권리》는 당시 철학자 강신주라는 이름을 널리 알린 출발점 같은 책이었다. 이 책 이후 《철학 VS 철학》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철학이 필요한 시간》 등을 연달아 내면서 출판계에는 이른바 ‘강신주 현상’이 거세게 불었다. 강신주는 장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동양철학 전공자이지만,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종횡무진 아우르는 보기 드문 철학자, 인문학자로 이름을 알렸다. 지금까지도 그는 자본주의체제의 모순을 응시하는 인문학, 대중의 상처를 치유하는 인문학 책을 꾸준히 펴내고 있다.
이번 개정판 《상처받지 않을 권리 다시 쓰기》는 초판의 논의를 이어가면서 내용과 구성을 대폭 수정했다. 초판에 등장했던 이상, 보들레르, 투르니에, 유하 등 문학자들의 논의는 삭제하고, 짐멜, 벤야민, 부르디외, 보드리야르를 다루었던 기존 네 개의 부를 새롭고 풍성하게 다듬었다. 그리고 웹자본주의를 숙고했던 페라리스 부분을 새로 추가해 전체 5부로 구성했다. 이탈리아 철학자 마우리치오 페라리스는 국내에는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21세기 현재 철학사적으로 신실재론(New Realism)을 이끌고 있는 주역 중 한 명이다. 페라리스는 “사변에서 만들어진, 자기 머리에서만 편안하게 만들어진 혁명들”을 거부하며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수준에서 데이터 사회를 냉철하게 파헤친다. 그것은 우리의 삶과 내면을 새롭게 재편한 새로운 형식의 자본주의, 스마트폰과 자동화, 웹이 지배하는 자본주의체제다. 페라리스는 2008년 이후 본격화된 새로운 형식의 자본을 다큐미디어혁명이라고 규정하며, 이를 18세기 산업혁명, 1950년대 미디어혁명에 이은 세 번째 혁명이라고 이야기한다. 우리는 웹에 기록 활동을 통해 동원되며, 끊임없이 다큐미디어자본에 종속된다고 페라리스는 진단한다. 이렇게 개정판에 페라리스를 추가함으로써 초판이 나올 당시에는 예측하지 못했던 AI, 가상현실, 집단지성, 웹, 빅데이터 등으로 상징되는 웹자본주의를 성찰할 수 있게 되었다.
“《상처받지 않을 권리》의 통찰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그러나 웹자본주의가 지금까지 자본주의가 고안한 욕망의 집어등을 스마트폰 한곳에 모아두었다면, 이제 짐멜도, 벤야민도, 부르디외도 그 리고 보드리야르도 스마트폰과 웹에서 자신의 통찰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이 탁월한 지성들에게는 낯설기만 한 공간일 겁니다. 그래서 웹의 세계에 익숙한 든든한 안내자가 한 명 정도는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 사람이 바로 마우리치오 페라리스입니다.”(6쪽, 〈개정판 머리말〉에서)
상세 이미지
목차
개정판 머리말
머리말
프롤로그
Ⅰ. 돈의 신학, 도시의 개인주의: 짐멜의 도시인문학
1. ‘돈’이라는 신을 욕망하는 사람들
화폐경제와 우리의 내면세계
돈의 신학, “네게 평안한 안식을 주리라!”
우리는 왜 화폐를 욕망하는가
2. 대도시와 개인, 그리고 자유
시골 사람과 도시 사람의 차이
고독, 도시인이 누리는 자유의 이면
대도시의 개인주의, 그 야누스적 얼굴!
Ⅱ. 유행, 도박, 매춘… 욕망의 거대한 집어등: 벤야민의 에로틱마르크시즘
3. 유행, 자본주의의 지배양식
벤야민의 미완의 기획, ‘아케이드 프로젝트’
백화점 혹은 욕망과 허영의 각축장
패션과 에로티즘
4. 도박과 매춘의 심리학
자본주의, 보편적인 도박장
도박이 폭로하는 자본주의의 종교성
매춘에서 사랑을 꿈꾸다!
Ⅲ. 감성적 우주를 해방의 우주로 바꿀 때: 부르디외의 자본주의적 아비투스
5. 비참한 자들이 혁명을 일으킬 수 없는 이유
아비투스와 두 가지 미래
그들에게 농사는 노동이 아니다
왜 실업자나 노숙자들은 혁명을 일으키지 않는가?
6. 우리 내면을 잠식하는 허영의 논리
칸트 미학 VS 민중의 미학
미적 취향, 가장 완고하고 폭력적인 구별 원리
인간의 허영과 자본주의의 유혹
Ⅳ. 치명적인 소비의 유혹: 보드리야르의 일반경제학
7. 우리가 진짜로 소비하는 것
계속해서 새로운 것을 소비하라
자본주의는 무엇 때문에 발달했나?
소비사회의 계보학, 거대한 욕망의 집어등
8. 유쾌한 파멸의 길
상징가치, 구원의 유일한 희망
보드리야르의 멘토, 바타유
불가능한 교환의 가능성
Ⅴ. 웹의 그물에 포획된 노동자들: 페라리스의 다큐미디어론
9. 스마트폰이란 노란 잠수함
다큐멘탈리티, 자본의 비밀을 푸는 열쇠
“우리는 동원된다. 그리고 자본에 종속된다”
자본주의의 목적은 감시가 아니라 소비
10. 존재한다는 건 저항하는 것
그 많던 노동자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동원된 자들의 보헤미안 랩소디!
웹페어의 꿈, 혹은 페라리스의 고독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