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日の為替レートrate

お振込銀行

クレジットカード支払い

ログイン | LOGIN

  • ems
  • jetro
  • ems

(LP) 헤어질 결심 영화음악 (Decision to Leave OST) (컬러 2LP)

通常価格 74,300ウォン
販売価格 74,300ウォン
韓国内配送料 2,500ウォン
オプション
 
 
商品購入についてのご案内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はワンモアが販売する商品ではありません。

・この商品の詳細情報、原産地、などは下記の【元の商品ページで開く】をクリックすると通販サイトで確認できます。

・この商品は韓国通販サイト【Auction.co.kr】の情報提携によって掲載しています。

・掲載されている商品のすべてが購入代行可能な商品ではなく、国際発送ができない商品や輸入ができない商品もあります。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のイメージや詳細内容につきましては一切責任を負いません。

・購入希望の場合は販売サイト情報をご確認の上、「購入代行サービスお申し込み」よりご依頼ください。



안내

한정반 / 180g / 게이트폴드
LP는 개봉 후 변심 반품이 불가하며, 일부 타이틀은 구성품 불량인 경우 구성품에 한해 별도 교환 처리됩니

상품소개

‘헤어질 결심’ 2LP 바이닐 한정반 음반소개글

“특히 스코어의 마지막 트랙(34. 서래)이 주는 충격은 이 음반이 아니면 경험하기 힘든 종류의 것이다. 일 분이 넘도록 흐르는 라스트 씬의 사운드 컷은 ‘보이지 않기에 더욱 생생히 감각한다’는 아이러니를 온몸으로 깨닫게 한다. 첫 번째는 가까이서, 두 번째는 멀리서, 세 번째는 토해내듯, 네 번째는 울어버리듯 외치는 “서래 씨”를 차례대로 듣고 있노라면 그 누구라도 무너지지 않을 도리가 없다.” (최다은 SBS PD, 동봉 부클릿 리뷰 중에서)

엔딩 시퀀스에서 거칠고 무심한 파도 소리와 함께 절정으로 치닫는 영화음악 선율은 관객으로 하여금 헤아릴 수 없는 감정선의 바다 속으로 빠지게 한다. 영화가 끝난 후에도 묘한 여운과 감동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관객들의 뇌리에 [헤어질 결심]의 탁월한 영화음악이 아로새긴 인상은 시간이 지나도 쉬이 잊히지 않는다.
조영욱 음악감독이 주도하는 영화음악 창작 집단 ‘사운드트랙킹스’가 공들여 세공한 영화 [헤어질 결심]의 오리지널 스코어 34곡과 (LP에만 독점으로 수록된) 말러 5번 교향곡 4악장까지, 총 35개 트랙이 2장의 LP에 빼곡히 담긴 [헤어질 결심]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LP 패키지는 영화의 깊은 여운과 독보적인 음악적 감동을 가장 아름답게 간직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2장의 바이닐 음반은 헤비 LP 컬렉터이기도 한 조영욱 음악감독의 감수 아래 아날로그 마스터링 작업을 새롭게 거쳤으며, 세계적인 LP 프레스 공장인 일본 동양화성(Toyosekai)을 통해 생산되었다.
도서, 도록, 포스터, 음반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지금 현재 그래픽 디자인 신에서 가장 뜨거운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디자이너 듀오 ‘신신'이 참여한 음반 디자인은 영화의 중요한 요소인 ‘안개'처럼 시각적으로도 정서적으로도 유연한 ‘흐름’의 연속성을 컨셉으로 설계되었다.
“서래와 해준의 두 눈동자가 한 곳으로 모아지는 순간으로부터, 좁디 좁은 골짜기에 꽂힌 대나무를 거쳐, 포말이 되어버린 서래의 옆모습으로 “마침내” 마무리 된다.” 이는 게이트폴드 앨범 커버에 적용된 앞쪽, 안쪽, 뒤쪽의 시각적 요소들을 순서대로 표현한 것인데, 영화의 큰 줄기를 바이닐 커버의 구조에 접목해 본 것이다.
구체적으로, 흑연 빛깔로 별색 UV 인쇄된 해준의 초상과 그 앞을 희뿌연 안개처럼 가리며 흰색으로 스크린 인쇄된 서래의 초상을 눈을 기준으로 맞물리게 처리한 앞모습. 그대로 시선을 옮겨 서래의 완측면을 부서지는 포말로 연출한 뒷모습. 그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내부의 정중앙에서 마주치게 되는 것은 모래사장에 꽂꽂하게 버티고 있는 대나무 줄기다.
‘안개'라는 디자인 컨셉을 부드러운 질감의 투과형 종이인 트래싱지에 적용한 8p 부클릿은 디자인적으로 중첩되는 요소들의 레이어감을 가변적으로 조정하며, 텍스트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책받침과 같은 역할의 별도 삽지를 동봉하여 제공하는 디테일이 돋보인다. 부클릿에 동봉된 SBS 최다은 PD의 라이너 노트와 조영욱 음악감독 인터뷰는 오직 이번 바이닐 앨범만을 위해 새롭게 작성되었다.


[구성품]
- 게이트폴드 커버
- 2LP (180g / 12" / 33 1/3 RPM)
- 접지 브로셔

디스크

Disc1
01헤어질 결심 / Decision to Leave
02Look Down
03말씀 혹은 사진? / Body of Evidence
04멜로드라마 / Soap Opera
05잠복근무 / Peeping Tom
06마침내 / Finally
07향수 / Eau de cologne
08의문의 여인 / She
09Rear Window
10서로 마주보다 / Truth or Dare
11내 집에 와요 / Come with Me
12기도수 씨는… / Proof of Suicide
13중국식 볶음밥 / Fried Rice
14죽을 만큼 좋아해 / Love to Death
15예뻐요 / piaoliang
16내 숨에 당신 숨을 맞춰요 / Under the Spell
17우는구나 / See of Love
18잠 못 자 죽어가는 형사 / I Can See Your Voice
19살인의 증거 / Anatomy of Murder
20붕괴 / Falling Down
21물 / Jelly Fish
22철썩이 / Anger

Disc2
01사랑이야기 / on the TV
02재회 / Brief Encounter
03여보! 살인사건이래 / Spot of Incident
04푸른 드레스 / Blue Dress
05묘지에서 / Murder Suspect
06메모장 / Her
07눈 내리는 호미산 / With Love
08부드러운 손길 / Soft Skin
09이전으로 돌아가요 / We Go Way Back
10음성파일 / Crazy, Stupid, Love
11당신목소리 / Look of love
12서래 / Seorae
13Mahler: Symphony No. 5 in C Sharp Minor - 4. Adagietto (Sehr langsam)
Gustav Mahler: Symphony No. 5 in c# minor
IV Adagietto. Sehr langsam
Myung-Whun Chung,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Recorded live in Seoul Arts Center; May 22-23, 2014
2015 Universal International Music B.V

아티스트 소개

Gustav Mahler

Gustav Mahler
구스타프 말러 구스타프 말러 (독일어: Gustav Mahler 1860년 7월 7일 ~ 1911년 5월 18일)는 보헤미아 태생의 후기 낭만파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작곡가로서 그는 19세기 오스트리아-독일 전통과 20세기 초의 현대주의 사이의 다리 역할을 했다. 지휘자로서의 그의 위치는 확립되었지만, 그의 음악은 나치 시대 동안 유럽에서 공연 금지를 포함한 무관심의 기간 후에야 폭넓은 인기를 얻었다. 1945년 이후 새로운 음악 세대는 그의 음악을 재발견했다. 그 후 말러는 20세기의 작곡가들 중 가장 자주 연주되고 녹음된 작곡가 중 한 명이 되었다. 2016년 BBC 뮤직 매거진 151명의 지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그의 교향곡 중 3곡은 역대 최고의 교향곡 10위 안에 올랐다. 보헤미아(당시 오스트리아 제국 일부)에서 독일어를 구사하는 유대인으로 태어난 말러는 어린 나이에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1878년 빈 음악원을 졸업한 뒤 유럽 오페라하우스에서 지휘직을 연이어 맡아 1897년 빈 국립 오페라 극장 감독으로 발탁됐다. 빈에서 10년 동안, 감독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한 말러는 반유대 언론의 적대와 비판을 경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혁신적인 작품들과 공연 수준의 기준에 대한 고집은 특히 바그너, 모차르트, 차이코프스키의 지휘자로서의 그의 명성을 높였다. 후반기에는 잠시 동안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와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감독을 맡았다. 말러의 삶의 대부분은 지휘자로 활동했기 때문에 그의 작품은 제한적이다. 그가 빈에서 학생이었을 때 작곡한 피아노 사중주곡과 같은 초기 작품들을 제외하고, 말러의 작품은 대부분 대형 관현악단, 교향악 합창단, 그리고 오페라의 솔로 연주자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 작품들은 초연 되었을 때 논란이 많았다. 예외로 그의 두 번째 교향곡 〈부활〉, 3번째 교향곡, 1910년 그의 8 번째 교향곡은 성공적이였다. 말러의 음악 후계자들 중에는 제2 비엔나 학교의 작곡가들, 특히 아르놀트 쇤베르크, 알반 베르크, 안톤 베베른이 있다.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와 벤저민 브리튼 또한 말러에게 영향을 받은 20세기 후반의 작곡가들이다. 국제 구스타프 말러 협회는 작곡가의 삶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55년 설립되었다. 말러는 그의 생애 동안에는 위대한 오케스트라 지휘자로서 알려졌으나, 그는 사후에 후기 낭만파의 중요한 작곡가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교향곡과 가곡 (특히 〈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와 〈죽은 아이를 위한 노래〉), 교향곡과 가곡의 두 성격을 띠는 《대지의 노래》가 유명하다. 그는 “교향곡은 하나의 세계와 같이 모든 것을 포함해야 한다”는 생각에 따라 작곡하였고, 교향곡을 길이와 우주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시야 모두에 있어서 새로운 발전의 단계로 올려놓았다. 또한 말러는 베토벤의 영향을 받아 교향곡에 성악을 주입하는 시도를 하였다. (그의 《교향곡 3번》은 일반적인 교향곡 레퍼토리 중에서 가장 긴 약 100분 이상의 시간을 소요한다. 그의 《교향곡 8번》은 천 명이 넘는 연주자에 의해 초연되었으며 교향곡 중에 가장 거대한 오케스트레이션을 갖고 있다.) 그는 그의 교향곡 일부에 니체와 괴테의 철학, 중세 종교 상징주의와 영성을 표현하는 가사를 사용했다. 그의 작품은 이제 세계 주요 관현악단의 기본 레파토리의 일부가 되었다. 출생에 관하여 말러는 “나는 삼중으로 고향이 없다. 오스트리아 안에서는 보헤미아인으로, 독일인 중에서는 오스트리아인으로, 세계 안에서는 유대인으로서. 어디에서도 이방인이고 환영받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말러는 지휘자로서 높은 지위를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작곡가로서는 빈의 비평가의 평가로 인정받지 못했다. (말러 교향곡 작품이 빈에서 호평을 받게 된 것은 만년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말러 자작 연주에 대해서 빈의 저널리즘 등에서 "자작의 선전에 열중하고만 있다"와 중상하는 것도 있었다.) 그의 교향곡은 11곡 중 7곡(1번을 현재 판에서 생각하면 8곡)이 오스트리아인에게는 이미 외국이 되고 있던 독일에서 초연되고 있다. 말러에게 "아웃사이더(부외자)"로서 의식은 평생 사라지지 못했고, 가장 만년에는 뉴욕에서 독일인 기자가 "무슨 사람" 물어 그 언론인의 기대되는 답인 "독일인"와는 전혀 다르게"나는 보헤미안입니다(Ich bin einBohme.)"이라고 답했다. 흑맥주를 좋아했으나 본인은 그렇게 술에 강하지 않았다. 성격은 불같이 화를 잘냈고 완벽주의에 괴팍했다. 무자비할 정도의 완벽주의자로서 말러는 음악에 있어서 그 누구와도 타협을 하지 않았으며 양보도 하지 않았다. 타인의 자존심에 상처를 주기 일쑤였고 일방적인 대화에 자주 몽상에 빠지기도 했다. 게다가 조울증, 정신강박증도 있어서 어떨 때는 기분이 업다운되기까지도 했다. 지휘자로서 양보와 타협을 모르는 완고함, 무자비한 완벽주의, 자기중심적, 고압적, 신경질적인 성격이 따랐고 지휘대의 독재자라고 불렀다. 말러는 자신과 같은 계의 음악가이자 제자인 브루노 발터, 오토 클렘페러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발터는 말러에 심취하고, 음악적인 면만 아니라 친구처럼 말러를 적극적으로 보좌했다. 클렘페러는 말러의 추천에 의해 지휘자로 시작할 수 있었고 그 일에 대해서 훗날까지 말러에 감사했다. 그 외, 빌럼 멩엘베르흐와 오스카 프리트와 같은 당시의 일류 지휘자도 말러와 교류하며 크게 영향을 받았다. 특히 멩엘베르흐는 말러로부터 "내 작품을 마음놓고 맡길 만큼 신용할 수 있는 인간은 따로 없다"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 멩엘베르흐는 말러의 사후, 남겨진 작품을 소개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1920년 5월 6일부터 21일까지 말러의 교향곡 전곡을 연주했다. 한편 말러는 완고한 성격과 완벽주의로 인해 주위의 반발을 산 적도 많았다.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말러의 고압적인 태도(리허설에서 참다못한 때에 바닥을 발로 구르고 음정이 나쁜 단원들과 아인 자츠가 갖추어지지 않을 때 지휘봉으로 지적하는 것 등)를 싫어했다. 당시의 반유대주의의 융성과 함께 말러에 대한 태도는 점점 굳어졌고, 어느 날, 바이올린 연주자 중 한 명이 "말러가 왜 저렇게 화를 내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다. 한스 리히터도 심하지만요."라고 말했고, 다른 사람이 "그렇구나. 하지만 리히터도 한통속이다"고 말했다. 당시 빈의 음악 저널리즘에서도 반유대주의에 입각한 부당한 공격을 받았으며, 이들은 말러가 유럽에서 활동을 그만 두게 된 큰 요인이 되었다. "언젠가 나의 시대가 올 것이다"라는 말러의 말은 1902년 2월 알마 앞 서한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것을 언급한 때에 등장하고 있다. “그(슈트라우스)의 시대는 끝나고 나의 시대가 올 것이다. 그것까지 내가 그대 곁에서 살아 있었으면 좋지만! 하지만 너는 나의 빛이여! 너는 분명 살아 그날을 찾는다!” 말러는 당시 악단의 정점에 오른 최고의 지휘자였다. 음악성 이상으로 철저한 완벽주의, 완급 자재인 속도 변화, 극심한 몸짓과 소절선에 얽매이지 않은 초서적인 지휘법은 체험화할 만큼 강한 충격을 당시 사람들에게 주고 있다. 그 대표적인 캐리어쳐인 "초현대적인 지휘자"(Ein hypermoderner Dirigent)에는 1901년 빈 초기 시절 심한 운동을 동반한 말러 지휘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또한 그 지휘 솜씨는 점차 평온한 것이어서, 만년에 의사는 심장 질환을 선고 받고는 "거의 불길에서 조용한 그림 같았다"(발터의 증언)과 다른 것이었다. 말러 지휘자로서의 명성은 벌써부터 나오고 있으며 1890년 12월 부다페스트에서 상연된 돈 조반니를 들은 브람스는 "진짜 돈 조반니를 듣기 위해서는 부다페스트에 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말러는 연주되는 곡에 대해서 악보를 수정, 편곡하는 경우가 많았고 후에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말러가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을 떠난 후 수정이 들어간 이들 악보를 보고 "말러 놈, 수치를 알라!(Shame on a man like Mahler!)"과 분개했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슈만의 교향곡 2번, 교향곡 3번의 연주에서는 토스카니니는 말러에 의한 오케스트레이션의 변경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지휘에 대해서 말러의 말이 몇가지 남아 있다. "모든 음의 길이가 정확히 나오면 그 템포가 바르다." "음이 전후 서로 겹치고 프레이즈가 이해할 수 없게 된다면 그 템포가 너무 빠르다" "식별할 수 있는 극한의 곳이 프레스토의 올바른 템포이다.그것을 넘으면 더 이상 무의미하다" "청중이 아다지오에 따라오지 못할 때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미루었다" 말러는 지휘자로서 많은 개혁을 실행하고, 그것은 현대에도 계승되고 있다.

조영욱

음악 감독

정명훈

정명훈
Myung-Whun Chung

서울시립교향악단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음반 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