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사 ◆
BTB Books
◆ 책소개 ◆
【특징】
1. 공중보건의 개념과 영역, 보건 분야와의 관련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총 13장으로 구성
2. 가장 최근에 개정되었거나 새롭게 신설된 정책 내용의 자료와 법규를 이용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높임
3. 지역별, 연도별로 기출 표시가 되어 있어 중요도 및 출제빈도, 출제경향분석에 용이
4. 심도 깊은 설명이 필요할 때에는 http://cafe.naver.com/yulim21c 를 이용하면 온라인 상 저자의 답변을 직접 이메일을 통해 받을 수 있도록 수험생-저자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별도로 추가 마련해 놓음
5. 수험생 지원 차원에서 유튜브 “김희영의 널스토리”를 오픈
매주 핵심이론 영상강좌를 제공, 본인도 모르게 지식이 상식화되고, 시험합격은 물론 최종면접에도
많은 도움이 되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6. 중요 주제에 QR 코드가 있어 동영상으로 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QR코드의
영상정보로 알찬 정보를 제공합니다.
◆ 목차 ◆
PART 01 공중보건학의 개념
01 건강과 질병
01 건강의 정의
02 질병의 정의
02 공중보건학의 개념
01 공중보건학의 정의
02 공중보건사업
03 공중보건학의 관련 학문
04 공중보건수준의 평가
03 공중보건학의 발전사
01 고대기(기원전~서기 500):위생 중심
02 중세기(500~1500):암흑기
03 근세기(1500~1850):여명기, 요람기
04 근대기(1850~1900):
보건의료의 확립기, 세균학설 시대
05 현대기(1900년 이후):
보건의료 발전기, 탈미생물학 시대
04 일차 보건의료와 건강증진
01 일차 보건의료(PHC)
02 건강증진
PART 02 역학 및 감염병 관리
01 역학
01 역학의 개념
02 역학의 연구방법
03 질병발생의 빈도 및 위험도 산출
02 감염성 질환
01 감염병의 정의
02 감염병의 발생설
03 질병발생의 3대 요인
04 질병의 발생 모형
05 감염 과정
06 감염병의 생성 과정(6고리)
07 감염성 질환의 예방과 관리(3대 원칙)
08 우리나라 법정감염병
09 감염병의 분류
03 만성 퇴행성질환
01 만성 퇴행성질환의 개념
02 만성 퇴행성질환의 특성
03 만성 퇴행성질환의 위험요인
04 만성 퇴행성질환의 예방
05 연령별 사인순위
06 집단검진
07 만성 질환의 종류
PART 03 보건통계
01 보건통계학의 개념
02 측정수준
03 표집조사
04 비실험 연구 중 서술 연구의 종류
05 중앙집중화(대푯값)
06 산포도
07 표본 평균과 모평균의 추정
08 타당도
09 상관관계 분석과 연구자료 분석 방법
10 표준화율
11 도수분포표
12 병원 통계
PART 04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01 모자보건
01 모자보건사업의 대상자
02 모자보건의 중요성
03 우리나라 모자보건사업의 내용
04 모자보건지표
05 모성건강관리
06 영유아의 보건관리
02 가족계획
01 가족계획의 정의
02 가족계획의 방법
PART 05 인구와 보건
01 개념
01 인구의 개요
02 인구이론
02 인구통계
01 인구통계 자료원
02 생정 통계
03 생명표
03 인구구조
01 성비
02 부양비
03 인구구조(인구피라미드)의 유형
04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
04 인구정책
01 인구정책의 개념
02 인구정책의 분류
03 저출산ㆍ고령화 사회
PART 06 학교보건 및 보건교육
01 학교보건
01 학교보건의 중요성
02 학교보건의 목적
03 학교에 두는 의료인ㆍ약사 및 보건교사
04 보건교사의 직무
05 행정책임자-학교장의 직무
06 학교보건사업
07 학생건강평가
08 교내환경관리
09 교사 외 환경관리
10 교육환경보호에 관한 법률
02 보건교육
01 보건교육의 정의
02 보건교육 시 고려할 사항
03 보건교육가의 자질 2
04 보건교육 관련 이론
05 보건교육 계획
06 보건교육의 종류
07 보건교육 방법
08 보건교육 매체활용
09 보건교육 평가
PART 07 산업보건 관리
01 산업보건의 정의
02 산업보건의 역사
03 사업장 조직
04 근로자의 영양관리
05 작업관리
06 산재보험급여 종류별 수급 요건 및 급여 수준
07 건강진단의 종류
08 유해물질 허용기준
09 가동 중인 시설에 대한 작업환경관리 대책
10 산업재해 통계지표
11 산업재해 발생의 역학적 요인
12 직업성 질환
PART 08 정신보건, 성인 및 노인
01 정신보건
01 정신보건의 이해
02 정신보건 관련 질환
03 정신보건 관련 시설
02 노인보건
01 노화 현상
02 노인 질환의 특징
03 뇌졸중
04 근골격기능 장애
05 허혈성 심질환
06 파킨슨병
07 치매
08 노인의 건강관리방법
09 노인복지서비스
PART 09 환경보건학
01 환경과 건강
01 환경오염
02 환경 관련 용어
03 환경과 관련된 국제 협약
02 공기와 건강
01 공기의 구성
02 온열 지수
03 공기의 자정 작용
04 실내 공기오염
05 대기 오염
06 대기오염 현상과 발생 기전
07 대기오염의 일반적 대처
08 대기오염의 피해
03 물과 건강
01 물
02 정수법
03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04 하수처리 과정
05 수질 및 수생태계
06 수질 오염
04 폐기물 처리
01 폐기물의 정의와 종류
02 폐기물 처리방법
03 폐기물 관리정책
04 분뇨처리
05 환경 호르몬
01 환경 호르몬의 정의
02 기전
03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특징
04 환경 호르몬의 여러 가지 피해 현상
05 환경 호르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실천
사항
06 내분비계 장애가 우려되는 물질
06 환경 평가
01 내용
02 환경오염의 대책
03 환경오염의 규제 방법
PART 10 의복과 주택위생
01 의복위생
01 개념
02 의복의 열전도율과 방한력
03 의복과 건강
02 주거와 위생
01 이상적인 주택
02 조명
03 자연 환기
04 난방과 냉방
03 집합소 위생
01 수영장
02 목욕장
04 소독
01 소독의 정의
02 소독 방법
PART 11 식품위생과 보건 영양
01 식품위생의 개념
02 식중독
01 세균성 식중독
02 화학적 식중독
03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04 바이러스성 식중독
05 기타 식중독
06 식중독 예방
07 식품 첨가물
08 유기 물질
09 농약
03 보건 영양
01 개념
02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PART 12 위생 해충 및 기생충 질환 관리
01 위생 해충
01 위생 동물과 해충
02 위생 해충의 구제방법
03 위생 해충의 생태
02 기생충 질환 관리
01 기생충의 분류
02 기생충별 특성
03 식품 관련 기생충질환
PART 13 보건행정
01 보건행정
02 사회보장제도
03 보건의료체계의 구성요인
04 보건의료서비스의 사회경제적 특성
05 적정 보건의료서비스의 요건
06 의료보장제도
07 장기요양급여의 종류
08 보건기획의 방법 ·
09 일반적인 정책 과정
10 Allison 모형(집단 의사결정 모형)
11 경제성 평가방법
12 의료의 질적 평가
13 정책이론 모형
14 우선순위
15 세계보건기구(WHO)
16 지역보건사업 주체
17 보건의료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의무
18 의료법
19 지역보건법
20 국민건강증진법
21 미국의 민간보험
참고문헌
◆ 저자소개 ◆
김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