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日の為替レートrate

お振込銀行

クレジットカード支払い

ログイン | LOGIN

  • ems
  • jetro
  • ems
전쟁론 - 군사학연구총서 3
通常価格 28,000ウォン
販売価格 28,000ウォン
韓国内配送料 2,500ウォン
オプション
 
 
商品購入についてのご案内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はワンモアが販売する商品ではありません。

・この商品の詳細情報、原産地、などは下記の【元の商品ページで開く】をクリックすると通販サイトで確認できます。

・この商品は韓国通販サイト【Auction.co.kr】の情報提携によって掲載しています。

・掲載されている商品のすべてが購入代行可能な商品ではなく、国際発送ができない商品や輸入ができない商品もあります。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のイメージや詳細内容につきましては一切責任を負いません。

・購入希望の場合は販売サイト情報をご確認の上、「購入代行サービスお申し込み」よりご依頼ください。



책소개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
전쟁은 과연 무엇인가?
전쟁은 왜 일어나며 어떻게 수행되는가?
전쟁은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세기에는 테러리즘과 극단주의라는 새로운 위협이 등장하고 이에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전쟁 양상이 대두하고 있다. 특히 정치·경제·군사·사회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안보(comprehensive security), 한 국가 혹은 일부 국가 중심의 안보가 아닌 초국가적 협력을 요구하는 협력안보(cooperative security) 개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경제안보나 사회안보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지더라도 그것이 군사안보를 대체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경제안보나 사회안보가 잘못될 경우에는 불편함과 혼란을 조장하지만, 군사안보가 잘못될 경우에는 국가의 존재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 또한 경제안보나 사회안보가 실패할 경우에는 수습이 가능하지만 군사안보가 실패할 경우에는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따라서 포괄안보의 시대에도 군사안보 문제는 결코 소홀히 다룰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쟁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전쟁의 이해는 군사안보를 연구하기 위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으며, 국가안보를 연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전쟁은 파괴와 살상을 수반하는 잔혹한 현상이기에 혐오스럽고 회피하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전쟁은 없애거나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전쟁은 수만 년 전부터 인류의 역사와 함께 존재해왔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을 정치의 연속이라고 정의한 것은 전쟁이 곧 우리 삶의 일부임을 의미한다. 전쟁을 근절하지도, 억제하지도, 회피할 수도 없다면, 우리는 전쟁을 보다 잘 이해함으로써 군사 문제, 국가안보 문제, 국제정치 문제를 더 잘 다루어야 한다.

목차

서문

PART 1.전쟁의 본질

CHAPTER 1 전쟁이란 무엇인가 | 최병욱(상명대학교 군사학과장)
I. 전쟁의 개념
1. 전쟁과 평화 | 2. 전쟁의 정의 | 3. 전쟁의 양상과 의미 변화
II. 전쟁의 속성
1. 전쟁의 이중적 구조 | 2. 전쟁의 세 가지 속성
III. 전쟁의 유형
1. 전쟁의 목적에 따른 분류 | 2. 전쟁 수행방식에 따른 분류 | 3. 기타 전쟁의 특성에 의한 분류

CHAPTER 2 전쟁의 원인 | 박용현(대전대학교 군사학과장)
I. 인간 차원의 전쟁의 원인
1. 인간 이해 | 2. 공격본능이론 | 3. 사회적 진화이론 | 4. 좌절-공격이론 | 5. 사회학습이론 | 6. 이미지 이론 | 7. 기타 이론
II. 사회·국가 차원의 전쟁의 원인
1. 국가와 안보의 이해 | 2. 사회현상으로서 전쟁 | 3. 집단갈등론 | 4. 사회심리학적 이론 | 5. 경제 모순과 계급갈등 이론 | 6. 제국주의전쟁 이론 | 7. 기대효용 이론 | 8. 문명충돌론 | 9. 기타 견해
III. 국제체제 차원의 전쟁의 원인
1. 국제체제의 이해 | 2. 힘의 전이 이론 | 3. 위계이론 | 4. 리처드슨 모델 | 5. 구조균형이론 | 6. 동태적 균형이론 | 7. 국내 혼란과 국제전쟁의 연계 | 8. 기타 견해

CHAPTER 3 전쟁의 과정 | 박창희(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I. 전쟁의 개시
1. 기습에 의한 전쟁 개시 | 2. 선전포고에 의한 전쟁 개시 | 3. 사후 포고 혹은 선전포고 없는 전쟁
II. 전쟁의 확대
1. 정치적 목적 | 2. 군사전략의 영향 | 3. 제3국의 개입 | 4. 동맹체제의 작동
III. 전쟁의 제한
1. 국내여론의 악화 | 2. 국제사회의 중재 | 3. 제3국의 개입 우려 | 4. 동맹체제의 작동
IV. 맺음말
CHAPTER 4 전쟁의 종결 | 정재욱(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조교수)
I. 전쟁 종결의 중요성
1. 전쟁 종결의 의미 | 2. 전쟁 종결의 중요성 | 3. 전쟁 종결계획의 수립
II. 전쟁 종결의 조건
1. 전쟁 종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2. 전쟁 종결의 조건 분석
III. 전쟁 종결의 방식
1. 정치집단의 소멸에 의한 종결 | 2. 항복에 의한 종결 | 3. 제3자의 개입 및 중재에 의한 종결 | 4. 교전 당사자 간 협상에 의한 종결
IV. 맺음말

PART 2.전쟁의 진화

CHAPTER 5 고대 및 중세의 전쟁 | 손경호(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I. 고대
1. 사회와 사상 | 2. 군사제도 | 3. 무기체계 | 4. 전략·전쟁 양상
II. 중세
1. 사회와 사상 | 2. 군사제도 | 3. 무기체계 | 4. 전략·전쟁 양상

CHAPTER 6 근대 및 현대의 전쟁 | 김재철(조선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근대의 전쟁
1. 사회와 사상 | 2. 군사제도 | 3. 무기체계 | 4. 전략·전쟁 양상
II. 현대의 전쟁
1. 사회와 사상 | 2. 군사제도 | 3. 무기체계 | 4. 전략·전쟁 양상
III. 맺음말

CHAPTER 7 미래의 전쟁 | 김정기(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미래전 양상의 변화 요인
1. 정보화사회 도래: 전쟁 패러다임의 변화 | 2. 과학기술 발전: 전쟁수단 및 방식의 변화
II. 미래전 이론의 발전 동향
1. 공지전투 | 2. 정찰-타격 복합체 | 3. 신 시스템 복합체계 | 4. OODA 루프 | 5. 네트워크 중심전(NCW) | 6. 5원이론 | 7. 병렬전쟁 | 8. 비선형전 | 9. 효과중심작전 | 10. 신속결정작전
III. 미래전 양상의 주요 특징
1. 전쟁수행개념 변화 | 2. 전장공간 확대 | 3. 전쟁수단의 혁명적 변화 | 4. 전장 통합운영
IV. 맺음말

PART 3.전쟁의 유형

CHAPTER 8 전면전쟁과 제한전쟁 | 김연준(용인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전면전쟁
1. 전면전쟁의 개념과 정의 | 2. 전면전쟁의 조건과 평가
II. 제한전쟁
1. 제한전쟁의 개념과 정의 | 2. 제한전쟁의 역사 | 3. 제한전쟁의 방법 | 4. 제한전쟁의 지침 | 5. 제한전쟁의 문제점과 확전전략
III. 제한전쟁 사례: 6·25전쟁
1. 미국과 국제연합의 참전 결정과정 | 2. 북한군 침공과 중국군 불법개입 단계 | 3. 유엔군 반격 단계 | 4. 고착전기 | 5. 함의
IV. 맺음말

CHAPTER 9 혁명전쟁과 4세대 전쟁 | 이종호(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혁명전쟁
1. 혁명전쟁의 정의 | 2. 혁명전쟁의 기원: 마오쩌둥의 혁명전쟁전략 | 3. 전개 및 발전 | 4. 특징 | 5. 전망
II. 4세대 전쟁
1. 4세대 전쟁의 정의 | 2. 주요 전쟁 사례 | 3. 전개 및 발전 | 4. 특징 | 5. 전망
III. 맺음말

CHAPTER 10 이념전쟁과 종교전쟁 | 정한범(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I. 이념전쟁
1. 이념전쟁의 개념과 기원 | 2. 이념전쟁의 전개 및 발전 | 3. 이념전쟁의 특징 | 4. 이념전쟁의 전망
II. 종교전쟁
1. 종교전쟁의 개념과 기원 | 2. 종교전쟁의 전개 및 발전 | 3. 종교전쟁의 특징 | 4. 종교전쟁의 전망
III. 맺음말

PART 4.전쟁과 국가역량

CHAPTER 11 전쟁과 사회 | 박효선(청주대학교 군사학과장)
I. 전쟁과 사회·문화의 이해
1. 전쟁과 사회의 개념과 기능 | 2. 전쟁이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 | 3. 사회발전에서 전쟁의 역할
II. 전쟁과 군대문화
1. 전쟁과 군 조직의 특징 | 2. 군대문화의 개념과 특성 | 3. 전쟁과 군사문화의 사회적 영향
III. 전쟁과 사회경제의 관계
1. 전쟁과 군사경제의 개념 | 2. 경제전쟁의 수단과 수행조건 | 3. 전쟁과 경제의 사회적 영향

CHAPTER 12 전쟁과 군사력 | 김종열(영남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군사력의 개념
1. 군사력 관련 용어 | 2. 군사력의 구성요소와 분류 | 3. 국력과 군사력
II. 군사력의 역할과 기능
1. 군사력의 효과 메커니즘 | 2. 군사력의 대내적 역할 | 3. 군사력의 대외적 역할 | 4. 군사력의 유용성에 대한 비판
III. 군사력의 건설 및 유지
1. 군사력 건설·유지와 국방비 | 2. 전력기획 | 3. 국방기획관리체계와 전투발전체계
IV. 군사력의 운용
1. 용병술 체계의 성립과정 | 2. 용병술 체계의 상호관계
V. 군사력의 평가
1. 군사력 평가의 어려움과 목적 | 2. 군사력 평가방법의 분류 | 3. 군사력 평가 이론
VI. 맺음말

참고문헌

출판사서평

각 분야의 전문가가 집필한 군사학 분야 표준교재

한편 군사학과가 개설된 지 10년이 지나고 군사학 교육 및 연구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이 분야를 연구하는 학생 및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표준교재 개발 노력은 미흡했다. 도서출판 플래닛미디어에서 발간한 군사학연구총서는 이러한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 기획되었다.
국방대학교 및 민간대학교 군사학과에 재직하고 있는 연구자들은 군사학연구회를 결성하고, 각자 교육 현장에서 강의하고 연구한 경험을 바탕으로 군사학의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학부 과정의 군사학도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입문서를 발간하기로 하고, 그 결실로 2014년에 『군사학개론』과 『군사사상론』을 펴낸 데 이어 올해에는 군사학연구총서 세 번째 책인 『전쟁론』을 펴냈다.

시중에 전쟁론에 관한 저서들이 이미 나와 있지만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들이 표준교재로 사용하기에는 여러 제약이 따른다. 이에 군사학연구회의 집필진이 군사학을 다루는 각 대학의 학생들과 연구자들, 그리고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이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전쟁을 이해할 수 있는 지침서를 만들어 선보인 것이다.

책 속에서

전쟁의 원인이 인간의 본성에 있다면 항구적인 평화 구축은 요원하다. 야심적이고 이기적인 인간의 본성이나,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국가의 속성은 결코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18쪽)

인류는 평화를 누리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은 크게 두 가지 담론으로 구분된다. 첫째, 항구적 평화만이 최고의 선(善)이며 이를 인간의 이성으로 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법과 규범을 제정하고 국제기구를 만들며 외교적 활동과 경제제제 등을 통해 항구적 평화를 구축하려는 활동이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 평화를 위해 전쟁에 대비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며 효과적이라는 주장이다. 확실한 전쟁대비책을 강구하여 상대에게 승리할 가능성이 없음을 인식시킴으로써 전쟁 자체를 방지하거나, 혹은 자신에게 보다 유리한 평화를 구축하기 위하여 전쟁을 적극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논리이다. (18~19쪽)

기술력의 발전이 전쟁 양상을 결정하고 나아가 기술력의 우위가 전쟁의 승패를 가름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우리가 목도하는 21세기 현대의 전쟁은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2001년과 2003년에 각각 시작된 아프가니스탄전쟁과 이라크전쟁에서 압도적인 기술력과 화력의 우세를 바탕으로 탈레반 정권과 사담 후세인 정권을 비교적 쉽게 무너뜨리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정체가 모호한 반군세력들하고의 전쟁을 통해 종전 이후 오히려 더 많은 희생을 치르고 있다. 전쟁의 양상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24~25쪽)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을 불확실성의 영역으로 간주했다.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않았던 많은 마찰(friction)과 우연(chance)이 작용하여 최초 계획과 달리 전쟁을 엉뚱한 곳으로 끌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 결국 전쟁은 국가가 의도한 대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정치적 목적이 부적절하게 설정되어 전쟁이 지연될 수도 있고, 때로는 군사전략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쉽게 끝낼 수 있었던 전쟁을 망칠 수도 있다. 혹은 예상치 못하게 제3국이 개입하거나 상대국가의 동맹국이 동맹조약을 발효하여 개입함으로써 전쟁은 장기화되고 그 규모 및 범위가 커질 수 있다. (93쪽)

오늘날 국제관계를 둘러싼 환경을 돌이켜 볼 때 앞으로의 전쟁은 언제,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보다 언제, 어떻게 끝낼 것인가의 문제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사실상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는 전쟁을 어떻게 치르고 어떻게 끝내는지 개략적으로 정해진 공식이 있었다. 교전 당사자들은 특정 영토의 영유권 문제 같은 명확한 목표를 둘러싸고 전쟁을 하였으며, 한쪽이 굴복하고 다른 쪽이 원하는 지역을 장악할 때까지 싸웠고, 전쟁이 끝나면 승자와 패자가 분명하게 갈렸다. (140쪽)

전쟁 종결의 측면에서 볼 때 현재 또는 향후의 국제환경은 타 국가에 대한 정복 또는 무조건 항복을 받아내기가 어렵고, 완전한 군사적 승리만을 강조할 경우 전쟁목표를 달성하기가 어렵다는 시대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현실은 전쟁계획을 구상할 경우 완전한 군사적 승리에만 집착하지 않고 전장에서 소기의 승리를 바탕으로 협상을 통해 종전을 이끌어내는 전쟁 종결전략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워주고 있다. 특히 많은 전쟁의 경우 정책결정자들은 적군이 완전히 소멸하기 이전 또는 더 이상 전쟁 수행목표 달성이 불가능한 시점에서 전쟁을 끝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각 상황(시나리오)별로 어떻게 전쟁을 종결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종결상태(end state)와 종결계획(war termination plan)을 사전에 수립해 둘 필요가 있다. (141쪽)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핵시대가 개막하면서 강대국들은 상호 공멸을 가져올 핵전쟁을 막기 위해 스스로 전쟁을 제한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쟁의 확대 방지를 위해 주의를 기울였다. 그 결과 현대전은 제한전쟁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또한 탈냉전시대의 전쟁은 새로운 형태의 위협과 함께 게릴라전, 테러리즘, 민사작전, 심리전 같은 비정규전 양상과 정보혁명에 의하여 등장한 NCW, EBO, 사이버전, 비선형전, 마비전, 동시·병렬적 통합작전 같은 정보전 양상으로 대별되었다. 근·현대의 전쟁에서 약소국이 첨단무기체계로 무장한 강대국과의 전쟁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할 경우 비정규전으로 대응했으며, 이 경우 사회적 차원의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나폴레옹 군대에 대항한 에스파냐의 게릴라전과 러시아 초토화전략, 장제스의 군대와 대항한 마오쩌뚱의 인민전쟁전략, 미국을 상대로 싸운 북베트남의 항불투쟁(降不鬪爭) 등이 그 예이다. 또한 정보화시대에도 전략·전술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고, 다만 정보기술을 빌려 전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전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정보화된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노력과 더불어 그것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를 더욱 고민해야 할 것이다. (229~230쪽)

현재와 미래 핵시대에 군사력 운용의 주요 이슈는 국가이익을 달성하면서도 그에 수반하는 위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군사력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이다. 군사력을 지나치게 선별적이고 제한적으로 운용할 경우에는 주도권을 상실하게 되어 분쟁은 장기화하고 지원요구가 증가한다. 반면에 핵 또는 비핵군사력을 무분별하게 사용한다면 전면(핵)전쟁의 발발 가능성이 높아진다. 제한전쟁은 이러한 양극단 사이에서 국가목적을 달성하면서도 도덕적이며 정당한 방법으로 전쟁을 통제할 수 있는 균형점을 발견하는 것이 핵심이다. (298쪽)

특히 현대의 4세대 전쟁은 재래식전쟁으로는 패배시킬 수 없는 거대한 적에 대항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전쟁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중국의 마오쩌둥이 이러한 형태의 전쟁을 시작했다. 그 이후 성공의 교훈을 이어받은 베트남의 보응우옌잡, 쿠바의 체 게바라가 이를 적용하여 더욱 정교한 전쟁방식으로 발전시켰으며,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 1차 인티파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알카에다 네트워크들은 4세대 전쟁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312쪽)

4세대 전쟁은 정치적 우세를 적절히 사용하여 거대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패퇴시키는 진화된 형태의 분란전이다. 4세대 전쟁은 이전 세대의 전쟁과는 다르게 적의 군대를 패배시킴으로써 승리하려고 하지 않는 대신, 네트워크를 통해 적의 정책결정자들의 정치적 의지를 직접적으로 파괴하기 위한 공격을 한다. 4세대 전쟁은 몇 달이나 몇 년이 아니라 수십 년이 소요되는 장기간의 전쟁이다. (314쪽)

저자소개

저자 : 군사학연구회
2013년 4월 국방대학교 교수들 및 군과 협약을 체결한 민간 대학교 군사학과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군사학의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고 이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결성한 컨소시엄이다. 군사학 연구와 참고교재 집필에 주력하고 있으며, 향후 군사학연구학회로 발전시켜 국방정책 및 군사전략에 관한 정책적 연구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나갈 것이다.